기계식 키보드 대중화로 이제 기계식 키보드를 구입할 때는 개인취향으로 선택하는 시대죠. 다양한 디자인과 콘셉트의 기성품부터 직접 조립하는 DIY 제품까지 기계식 키보드는 다양합니다. 또한, 이런 기계식 키보드 대중화가 되면서 그동안 OEM/ODM으로 기계식 키보드를 제조했던 업체들도 직접 자사 브랜드 제품을 출시하면서 시장에 진출하는 경우도 많아졌는데, 오늘 만나볼 제품의 브랜드가 여기에 속하죠. 바로, SKYLOONG(https://skyloongtech.com/, https://ko.aliexpress.com/store/1103588356)입니다. 예전부터 기계식 키보드에 관심이 많았던 소비자라면 한 번은 들어봤을 정도로 SKYLOONG은 다양한 브랜드의 OEM/ODM 키보드 제품을 제조했던 업체입니..
기계식 키보드가 대중화되면서 이제 가격 경쟁에서 벗어나 개인 취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직접 조립할 수 있는 DIY 키트를 비롯해 완제품으로 나오지만 스위치를 교체할 수 있는 핫-스왑 방식, 다양한 키 배열과 키 캡, 그리고 RGB 조명 등 취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무궁무진하죠. 특히, 스위치 같은 경우에는 최근 핫-스왑 지원 키보드들이 많이 등장하면서 이제 일반 소비자들이 키 캡과 더불어 쉽게 튜닝할 수 있는 부속품으로 자리 잡았는데, 최근에 제이웍스를 통해 국내시장에 유통되기 시작한 Glorious(글로리어스)에서도 스위치만 따로 판매하는 제품이 있습니다. 바로, Panda(판다) 스위치. 특히, Panda(판다) 스위치 같은 경우에는 윤활이 적용되지 않은 무윤활..
지금은 기계식 키보드가 대중화 되었지만, 예전에 기계식 키보드하면 독보적인 존재가 바로 독일 체리사였죠. 기계식 키보드의 핵심인 스위치를 독일 체리사가 개발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현재 기계식 키보드가 대중화 되었어도 다양한 스위치 중에서 오리지널이 체리사 스위치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많죠. 이처럼 독일 체리사의 스위치는 명성이 높기 때문에, 자사에서 직접 키보드까지 상품으로 나오면 소비자들이 반가워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체리사는 1989년에 G80-3000 모델 키보드를 출시했었죠. 포괄적으로 G80 시리즈는 체리사의 오리지널 대표 키보드 라인업으로 30년이 넘는 세월 흐름에서도 그 명맥을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가장 최근 모델이라 할 수 있는 G80-3000S TKL 키보드는 ..
Good Bad l 20가지의 백라이트 모드지원 l 부가 기능 사용 간편 l 유/무선 지원 및 블루투스 지원 l PBT 재질의 이중사출 키-캡(keycap) l 체리 스위치를 사용하고도 비싸지 않은 가격대 l 부속품의 아쉬움 정도?(키-캡 리무버 미제공) Copyright © PISCOMU. All rights reserved.
Good Bad l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지원 l 유/무선 모두 지원 l 다양한 LED Backlight 지원 l 저렴한 가격 l ABS재질의 Keycaps Copyright © PISCOMU. All rights reserved.
Good Bad l 기본 충실에 깔끔한 디자인 l Cherry MX RGB 스위치 적용 l 다양한 LED Light 지원과 부가 기능 l PBT 재질의 이중사출 키-캡(keycap) l 일부 LED 기능의 불편함 ※본 리뷰는 ikbc(본사) 지원으로, 컨텐츠 저작권은 모두 PISCOMU(피스커뮤)가 가지고 있습니다. Copyright © PISCOMU. All rights reserved.
국내 PC시장에서 가장 핫한 시장이라면 단연 주변기기 시장입니다. 국내브랜드뿐만 아니라 해외브랜드도 이제는 국내에 많이 진출하고 있는데, 특히 해외브랜드라면 국내에선 미국, 독일, 대만, 중국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데, 오늘 만나볼 이 브랜드는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싱가포르 최대 주변기기 업체입니다. 바로, “ARMAGGEDDON(아마겟돈)”입니다. 피스커뮤가 그동안 국내에 다양한 브랜드를 소개할 때, 이 아마겟돈 역시3년전 처음 접했지만, 당시 한국진출에는 계획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올해 드디어 국내 공식수입사인 “㈜다름인터내셔널(http://www.dareum.co.kr/)”을 통해 한국에 첫 선을 보였습니다. 오늘이 이 아마겟돈에서 국내에 현재 유일하게 판매되고 있는 기계식키보드 모델을 만나보겠습..
PC시장 수요가 줄어들면서, PC업계들은 더 이상 PC를 방 안에서만 머물게 하지 않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노력이 바로 거실 환경에서의 PC환경인데, 시스템적인 부분에선 기존 거실의 게임환경 독재 콘솔 게임기처럼 PC시스템을 콘솔화 할려고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맞춰 컨트롤적인 부분도 점차 게이밍 컨셉으로 노력하고 있는데, 대표적인게 바로 키보드와 마우스를 하나로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Lapboard입니다. 최근 주변기기 업체들이 이런 Lapboard를 게이밍 컨셉에 맞춰 내놓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독일의 대표적인 게이밍 브랜드 ROCCAT(http://www.roccat.org) 역시 꾸준히 준비를 하고 있던Lapboard를 드디어 출시했습니다. 바로, “SOVA”..
국내 주변기기 전문업체 중 하나인 ㈜제닉스크리에이티브(http://www.xenics.co.kr/)는 다양한 키보드 라인업을 가지고 있는데, 작년 멤브레인 키보드에 메탈 하우징이라는 컨셉을 적용해 큰 인기를 얻은 TITAN시리즈는 올해 기계식키보드 TITAN Mark 시리즈까지 추가해 라인업이 넓혀졌습니다. 특히, 기계식키보드인 TITAN Mark시리즈는 스위치 교체방식이라는 컨셉을 국내에 처음 선보이면서 또 한번 주목을 받았습니다. RGB 백라이트 지원으로 출시된 풀-배열의 TITAN Mark VII와 텐키리스의 TITAN Mark X가 상반기에 출시되었으며, 하반기에도 추가 모델 “TITAN Mark V / VI”가 최근 출시되었습니다. 오늘은 이 중 텐키리스이었던TITAN MARK X와 대비되는 풀..
국내 주변기기 수입 전문업체인 ㈜제이웍스(http://www.jaywork.co.kr/)를 통해 국내에 정식 유통되고 있는 독일의 대표 게이밍 주변기기 전문업체 ROCCAT(http://www.roccat.org/). 앞서 기계식 키보드 라인업인 RYOS Series를 언급하면서 유일한 텐키리스 모델 'RYOS TKL PRO'를 만나보았습니다. RYOS Series는 그 시대에 출시되던 기계식 키보드 트랜드에 맞춰 적절하게 출시되었는데, 최근 기계식 키보드의 트랜드라면 단연 RGB 백라이트라 할 수 있습니다. 이에 RYOS Series를 선호하는 소비자들 역시 RYOS Series의 RGB 백라이트 모델을 줄곧 기다렸는데, 그 모델이 올해 출시되었습니다. 바로, “Ryos MK FX”입니다. 사실, Ry..
국내에도 기계식키보드로 잘 알려진 Ducky Channel(http://www.duckychannel.com.tw/)은 가장 대표적인 시리즈(Series)가 Shine Series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시리즈가 매년 추가되고 있습니다. 올해도 역시 새로운 Series 라인업이 추가되었는데, 바로, ‘ONE Series’입니다. One Series는 동시에 4가지 모델들이 출시되었는데, LED Backlight 유무와 Tenkeyless 구분으로 출시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그 중 Non-Backlight 버전의 풀-배열 모델 “One non-backlit”를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Specification 모델명(Model) One non-backlit(DKON1508F) 접점방식(Contact) 기계식..
주변기기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Cougar(http://www.cougar-world.co.kr/)는 700K 키보드와 700M/600M 마우스에 이어 2015년 판매 개시를 할 추후 모델들을 하나 둘 공개하고 있습니다. 바로 앞서 만난 600K 키보드가 700K와 같은 기계식 키보드 모델이라면, 이번에 만날 또하나의 2015년 모델은 바로 멤브레인 모델인 “500K”가 되겠습니다. 그럼, 멤브레인 방식의 500K는 어떤 모습을 갖추었는지 지금 살펴보겠습니다. Specification 모델명(Model) 500K 접점방식(Contact) 멤브레인(Membrane) 프로세서(Processor) ARM Cortex-M0(32bit) 전송 제어(Polling Rate) 1000Hz 반응 속도(Rep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