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서플라이를 규격 그러니깐 크기별로 분류하는 것을 제외하면, 케이블형태로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지죠. 파워서플라이 본체에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와 필요한 케이블만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듈러 방식. 물론,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많이 접하는 형태는 기본적으로 연결된 형태일겁니다. 하지만, 불필요하게 케이블이 남아돌아서 정리하는 걸 경험하고나면 한 번식 모듈러 방식을 생각해보게 되죠. 그것도 모든 케이블이 모듈러 방식인 풀-모듈러 방식이면 더할 나위가 없습니다. 국내 파워서플라이 전문업체인 마이크로닉스(http://www.micronics.co.kr)는 다양한 파워서플라이 라인업을 가지면서 동시에 모듈러 파워서플라이 제품들도 꽤 많은데, 특히 마이크로닉스하면 대표적인 라인업이 클래식 시리즈로 현재 클래식..
올해 파워서플라이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80플러스의 대중화다.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80플러스 인증의 파워서플라이 제품들은 다소 가격이 높아 구매에 걸림돌이 되었다. 하지만, 올해는 국내 파워서플라이 제조사들도 80플러스 제품들을 많이 선보여 가격면에서 일반 보급형 파워서플 라이와 차이가 없을 정도가 되었다. 그래서, 이제는 보급형 파워서플라이 자리까지 80플러스 모델이 차지하기 시작했다. 이런 시점에서, PC주변기기 전문업체 기가바이트도 보급형 시장을 넘보기 위해 가격부담이 없는 80플러스 기본 모델 파워락(PowerRock) 500W 80플러스(Plus)를 선보였다. 새롭게 보급형 파워서플라이 자리는 노리고 출시한 기가바이트의 파워락 500W 80플러스를 살펴보도록 하자. 기가바이트 파워락 500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