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채널 XLR로 더 완벽하게 돌아온 가성비 오디오 인터페이스! 마오노(Maono) AME2 Gen2

반응형

누구나 콘텐츠제작 혹은 스트리밍 방송을 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 시대가 열리면서, 이를 위한 필수 장비 마이크와 함께 오디오 인터페이스 역시 사용자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단순히 마이크만 사용할 때보다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함께 사용하면 방송국 스튜디오 부럽지 않은 좀 더 나은 콘텐츠 및 스트리밍 환경을 갖출 수 있는데, 마이크와 오디오 인터페이스 이 2가지 요소로 이미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진 가성비 브랜드가 있죠. 바로, 마오노(Maono)입니다. 마이크와 오디오 인터페이스 2가지 모두 주력으로 가성비 인정받기는 쉽지 않은데, 마오노는 이걸 꾸준히 소비자들에게 인정받고 있죠. 특히, 마오노하면 가장 인기가 많았던 가성비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마오노캐스터 E2 흔히 AME2(https://piscomu.com/4201)로 불린 제품이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이 AME2 2세대가 이번에 출시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마오노의 AME2 Gen2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만나보겠습니다.

 

 

Let's Get It~!!

■ 상품정보 - https://smartstore.naver.com/maonokorea/products/12172808205

 

마오노 캐스터 AME2 Gen2 스트리밍 오디오 믹서 휴대용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 마오노 코리아 스토

[마오노 코리아 스토어] 인터넷방송 오디오 장비 및 마이크로폰 전문브랜드 마오노코리아 공식 스토어 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제품박스부터 살펴보면, 박스 디자인은 1세대와 비슷합니다. 전면에 제품 이미지를 담고 있는데, 외형상으로는 디자인이 큰 변화가 없다라는걸 알 수 있고, 모델명에는 Gen2 표기로 2세대 모델을 구분할 수 있죠. 그리고, 이미지 옆에 주요 특징을 언급해 놨는데, 이미 AME2 1세대 모델을 알거나 사용해 본 소비자라면 무엇이 바뀌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데, 듀얼 XLR 마이크 입력입니다. 이 밖에 최대 60dB 마이크 감도, 48V 팬텀 파워, 블루투스 입력은 기존과 동일하고, 뒤에서 확인하겠지만, 새롭게 싱어롱 모드가 추가되었죠. 또한, 박스 앞부분 측면에도 주요 특징을 간략하게 표기해 놨는데, 듀얼 XLR 입력을 제외하면 나머지 악기 입력, 배터리 내장, 2인 마이크, 12단계 오토튠, 실시간 모니터링, 고급 DSP 칩셋, 리버브 조절, 노이즈 캔슬링 언급은 1세대와 동일합니다. 박스 후면 한쪽에는 AME2 Gen2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부를 이미지로 담고 있어서, 듀얼 XLR 입력 포트를 미리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아래에는 AME2 Gen2 소개와 그 옆에는 방금 언급한 주요 특징들 언급을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스를 열어보면, 1세대와 달리 오픈하는 과정에서 박스 안쪽 커버에 기본 외부 장치 연결방식을 표기해놨으며, 설명서와 퀵-가이드 아래에 비닐 포장된 AME2 Gen2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품은 별도의 박스 포장을 해놨죠. 전체 제품 구성은 AME2 Gen2 오디오 인터페이스, USB 케이블, 3.5mm TRSS 오디오 케이블, 제품 설명서, 퀵-가이드 제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실 이전 1세대에서도 퀵-가이드만 참고하면 기본 연결방식은 쉽게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에, 2세대에서 그대로 퀵-가이드가 제공됩니다. 그리고, 역시 개봉 시 오디오 인터페이스 상판 윗부분 광택 패널 부분에는 보호비닐이 동일하게 부착되어 있죠.

 

 

 

 

 

본격적으로 마오노 AME2 Gen2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앞서 제품 박스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외형적인 디자인에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외형이란 말그대로 케이스 크기나 상판 부분의 노브, 페이더, 버튼 같은 디자인 부분들이 모두 동일하다는 거죠. 또한, 측면에서 봤을 때 사용하기 편하도록 경사를 가진 각도 부분도 1세대와 동일합니다. 하지만,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기능 부분 배치가 1세대보다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변경되었습니다. 일단, 상판 윗부분 양쪽에 큰 원형 노브는 1세대와 마찬가지로 왼쪽 노브는 오디오 연결 시 배경음을 볼륩 조절할 수 있는 노브인데, 1세대에서는 AUX로 표기했지만, 2세대에서는 MUSIC으로 변경 표기했습니다. 그리고, 오른쪽 원형 노브는 출력되는 사운드 전체를 볼륨조절할 수 있는 기능으로 1세대와 동일하죠.

 

 

 

 

 

양쪽 원형 노브 사이에 즉 중간부분에는 1세대처럼 6개의 노브와 바로 아래 LED 레벨 미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어 있는데, 앞서 잠깐 확인했고, 뒤에서 다시 확인하겠지만, 이번 AME2 Gen2 모델에서는 듀얼 XLR 마이크 입력을 갖추었기 때문에, 6개의 노브 기능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왼쪽 2개는 각각 마이크 게인 조절 노브, 1세대 모델에서 맨 왼쪽에 배치되었던 마이크 및 악기의 입력신호 주파수를 조절하는 LOW/MID/HI 이퀄라이저 노브는 중앙으로 자리 잡았고, 맨 오른쪽 노브는 1세대와 동일하게 모니터링 헤드폰 볼륨조절 기능이지만, 1세대에서는 MONITOR로 표기했던 부분을 HEADPHONES로 좀 더 명확하고 쉽게 구분되게 표기 변경했습니다. 그리고, 노브 아래 6개의 레벨 미터 디스플레이는 3번째 마이크 게인 레벨 미터가 1세대 악기 레벨 미터 대신 변경되었고, 나머지는 일부 표기만 바뀌도 동일하죠. 또한, 레벨 미터 디스플레이 아래 역시 1세대와 동일하게 12개의 오토튠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상판 아래 중앙 패드 버튼 부분 역시 1세대와 달리 변화가 조금 생겼는데, 8개의 사운드 패드 위치는 동일하고, 그 위에 4개의 패드 버튼이 1세대 모델에서는 1분 레코딩 버튼이었던 반면, 이번 2세대 AME2 Gen2에서는 듀얼 마이크 지원으로 각각 48V 팬텀 파워 On/Off 버튼이 2개 적용되었고, 그 옆에는 블루투스 버튼과 실시간 모니터링 헤드폰 On/Off 버튼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 8개 사운드 패드를 1세대와 마찬가지로 20초 녹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패드 버튼 기준으로 맨 왼쪽에는 듀얼 마이크 볼륨 조절의 페이더와 바로 아래 음소거할 수 있는 각 버튼이 새롭게 적용되었고, 맨 오른쪽으로는 3개의 노브와 6개의 패드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데, 3개의 노브는 각각 패드 볼륨조절, 음성변조의 피치, 리버브 조절입니다. 1세대에서는 리버브 조절이 나뉘어 있었는데, 2세대에서 간편하게 하나로 합쳐졌습니다. 또한, 아래 6개의 패드 역시 1세대와 마찬가지로 REVERB PRESETS, SIDE CHAIN, DRY WET, LOOP BACK 버튼은 그대로 적용되었고, 주변 소음을 줄여주는 노이즈 기능은 1세대에서 DENOISE로 표기했던 반면, 이번 2세대에서는 NOISE REDUCER 좀 더 명확하게 표기했습니다. 그리고, 1세대에서 노래 출력 시 보컬 부분을 제거해 주던 MUSIC ONLY 패드 자리에는 새롭게 SING ALONG 패드가 적용되었는데, SING ALONG 모드는 출력되는 음악에서 보컬 부분이 제거되지만, 모니터링하는 헤드폰에서는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나와 노래를 쉽게 따라 부를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참고로, SING ALONG 패드를 2번 누르면, 1세대처럼 MUSIC ONLY 기능으로 작동됩니다.

 

 

 

 

 

이 밖에 마이크 음소거 버튼 위치부분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아랫부분에는 각 마이크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3.5mm 헤드폰 단자 포트 2개를 1세대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오디오 인터페이스 전면부에는 버튼 및 포트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맨 왼쪽에는 전원 버튼과 바로 옆에 패드, 레벨 미터 등에 적용된 LED 백라이트를  On/Off 할 수 있는 LED 버튼이 배치되어 있고, 그 옆으로 전원 연결 혹은 보조배터리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DC USB-C 포트와 PC/모바일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USB-C 포트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오른쪽 옆으로는 3.5mm TRSS 스트림 출력 포트 2개, 3.5mm 모니터링 스피커 연결 포트, AUX 입력 포트, 악기 연결 시 임피던스를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변경할 수 있는 Hi-Z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고, 맨 오른쪽 끝에는 2개의 XLR 입력 포트가 있는데, 2번째 포트에 마이크와 악기 표기가 함께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AME2 Gen2 오디오 인터페이스 밑바닥 부분에는 1세대 모델과 마찬가지로 모서리 부근에 미끄럼방지 패드를 부착해 놨고, 기본 제공되는 USB 케이블 총 1.8m 길이에 한쪽은 USB-C 인터페이스, 반대쪽에는 USB-C to A 인터페이스가 적용되어 있죠. 끝으로, 기본 제공되는 3.5mm TRSS 오디오 케이블은 80cm 길이를 가졌습니다.

 

 

 

 

 

직접, 마오노 AME2 Gen2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해보면, 1세대와 마찬가지로 2세대 모델 역시 PC와 모바일기기 연결 모두 지원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퀵-가이드만 참고해도 연결법은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역시 가장 큰 변화는 듀얼 XLR 즉 2 채널 XLR 마이크 구성이 가능하다는 점이죠. 물론, 1세대에서도 마이크 2개 연결을 지원했지만, 1개는 3.5mm 마이크 지원이라 아무래도 팟캐스터 같은 스트리밍으로 사용하기에는 균형이 맞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제 똑같은 XLR 마이크로 사용할 수 있어서 2인 방송에도 문제가 없고, 2번 마이크 XLR은 악기 연결도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이점도 그대로 유지합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같은 모바일기기 연결 역시 어렵지 않게 연결할 수 있고, 모바일기기 환경에서도 2 채널 XLR 구성이 가능하죠. 또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서 모바일기기 환경시에는 야외 같은 곳에서도 진행할 수 있고, 보조배터리를 사용하면 추가 전력 공급도 가능하기 때문에 야외 방송에서도 걱정이 없습니다.

 

 

 

 

 

PC나 모바일기기에서 환경을 갖추고나면 기능들은 1세대 모델보다 좀 더 사용하기에 편해졌습니다. 일단, 마이크와 관련된 기능들은 대부분 왼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나머지 사운드 효과적인 부분은 오른쪽으로 배치되어서 조작 시 이동 범위가 좁아졌습니다. 특히, 레벨 미터 디스플레이 부분과 바로 노브들이 마이크/악기 핵심 조절만 배치되어서 편하고, 레벨 미터 작동도 한눈에 들어와서 좋죠. 바로, 8개의 사운드 패드는 1세대와 동일한 사용법이라 이미 1세대를 사용해 본 소비자라면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고,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운드 패드 기준 왼쪽에 배치된 마이크 페이더와 음소거 버튼 역시 빠르게 조절, 전환할 수 있어서 편합니다. 끝으로, 오른쪽 배치된 6개의 기능 패드 역시 콘텐츠 제작이나 스트리밍 방송에서 유용한 기능들로 1세대와 동일한 기능들은 여전히 유용한데, 6가지의 에코 모드 및 조절의 리버브, 스트리밍 방송 중에 토크 시 자동으로 배경음을 낮게 잡아주는 사이드 체인, 녹음 시 유용한 드라이 웻 등 사용자가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면 좋습니다. 또한, 새롭게 추가된 싱어롱 모드 같은 경우에는 스트리밍 방송 중에 노래를 부를 때 유용합니다.

 

 

 

 

 

마오노(Maono)는 이미 가성비 마이크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꽤 높습니다. 특히,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가장 큰 인기를 받았던 AME2 모델은 이번에 2세대 버전으로 새롭게 출시한 AME2 Gen2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1세대의 장점들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듀얼 XLR 즉 2채널 XLR 지원으로 변경해서 더욱 완벽하게 돌아왔죠. 스트리밍이나 악기, 콘텐츠 제작 등 2인 방송이나 녹음에 있어서 듀얼 XLR 마이크 혹은 마이크+악기 조합은 이제는 밸런스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줍니다. 여기에 좀 더 사용 시 편하도록 노브와 페이더, 패드 배치도 좀 더 명확히, 마이크만 다루고 싶을 때는 왼쪽으로 사운드 효과적인 부분만 다룰 때는 오른쪽으로 손으로 컨트롤 시 이동 범위가 작아져 편해졌습니다. 기존 1세대에서도 큰 인기를 받았지만, 이제 2 채널 XLR 구성으로 돌아와 더 완벽해진 제품인만큼 최신 가성비 2 채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원했다면, 마오노의 AME2 Gen2를 추천합니다.

Copyright 2025. PISCOMU Co. All rights reserved.

반응형

댓글

Review/Contact Us : piscomu@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