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파워서플라이 시장의 경쟁은 치열하다. 이제는 일반 제품 경쟁을 지나 80플러스 인증의 제품들이 경쟁이 되고 있는데, 이도 점차 가격이 많이 좋아져 올해는 스탠다드(Standard)등급보다 한 단계 위인 브론즈(Bronze) 등급에서 경쟁이 치열하다. 80플러스 브론즈 등급의 치열한 경쟁속에 케이스와 파워서플라이 전문업체로 유명한 (주)마이크로닉스가 이번에 자사의 모델라인업 중 퍼포먼스(Performance)시리즈에 브론즈 등급을 추가한 “Performance Pro”를 선보였다. 그럼, 마이크로닉스의 새로운 퍼포먼스 라인업 Performance Pro를 살펴보도록 하자. 이번에 출시된 Performance Pro는 자사에서 출시했던 80플러스 브론즈 등급의 퍼모먼스 브론즈 모델과 등급이 같다. 이..
불과 몇년전만 하더라도, 파워서플라이는 단순한 PC의 파워역할로만 생각해 구입에 중용성이 높지 않았다. 하지만, 점점 파워서플라이의 기술품질이 높아지는 동시에 80플러스(Plus) 인증까지 나타나면서 이제는 파워서플라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 치열한 경쟁 속에 예전부터 국산브랜드로 판매율 상위를 유지하고 있는 ㈜파워렉스가 최근 자사의 첫 80플러스 브론즈 등급의 모델 레전드(Legend) 700W를 선보였다. 함께 출시된 레전드 라인업에서 유일하게 80플러스 브론즈 등급을 가진 파워렉스의 레전드 700W를 살펴보도록 하자. 이번에 출시된 레전드 700W는 앞서 언급했듯이 자사의 첫 80플러스 브론즈 모델이다. 이 밖에도, 이번 모델은 트리플 채널의 12V 구성과 대기전력 1W 미만의 그린IC칩 적용..
현재, 파워 등급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할 수 있다. 그 기준은 전력효율 인증인 80플러스다. 80플러스 등급을 받은 제품으 등급이 없는 일반 제품에 비해 좀 더 나은 효율을 보여주는 것도 있지만, 등급인증을 위해 검증을 거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제조업체에서 가격면을 고려해 80%이상 효율이 나와도 80플러스 등급을 받지 않고 내놓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등급인증을 받을 수 있는 효율에 근접하게 해서 내놓은 제품도 있다. PC주변기기 전문업체 안텍 역시 이번에 출시한 보급형 파워서플라이 VP550P는 80플러스인증이 아니지만 80%의 효율을 언급하고 있다. 그럼, 안텍의 VP550P를 살펴보도록 하자. 일단, VP550P는 판매제품에 신뢰감을 주기 ..
Delta(델타)와 양대산맥이라 할 수 있는 여러 PC대기업 브랜드에 납품되는 FSP 파워는 최근, 국내 한 사이트에서 보급형 파워서플라이 테스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FSP인기가 더 높아졌다. 보급형부터 고급형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 FSP가 2011년 첫 보급형 모델로 80플러스 브론즈 등급 EPN시리즈를 출시했다. APN시리즈로 보급형 시장에서 판매인기 1위를 차지한 FSP의 보급형 80플러스 컨셉 EPN시리즈 500W모델 FSP500-60EPN(80)을 살펴보도록 하자. FSP500-60EPN(80)는 110V기준에서 20%, 50%, 100% LOAD상황에서 각각 전력효율 82%, 85%, 82%이상을 보여야 받을 수 있는 80플러스 브론즈 등급을 인증한 모델이다. 전력효율을 위해 Activ..
국내에서 이미 유명한 파워서플라이 브랜드가 있다. 바로, 에너맥스(Enermax)다. 애너맥스는 국내 컴퓨마트를 통해 잘 알려진 해외브랜드다. 그리고, 이를 제조하는 회사를 바로 대만의 에코마스터(Ecomaster)다. 최근, 에코마스터는 애너맥스에 새로운 라인업 모델 NAXN을 비롯해 새로운 브랜드를 출시했다. 80플러스 골드등급 인증의 LEPA가 바로 그 브랜드다. 역시 국내에서도 컴퓨마트를 통해 출시되었는데, 그럼, 또하나의 고급 브랜드를 선언한 에코마스터의 LEPA를 살펴보도록 하자.(리뷰에 사용된 모델은 700W용량의 G700이 되겠다.) G700은 LEPA브랜드의 파워용량 700W모델로 제품 박스에는 브랜드명과 모델명이 모두 표기되어 있으며, 80플러스 골드인증 마크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가바이트 하면 국내에선 메인보드를 가장 많이 떠올릴 것이다. 그만큼 메인보드 로써의 브랜드입지가 높다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 다음은 그래픽카드일 것이다. 하지만, 기가바이트는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외에도 다양한 PC주변기기를 출시한다. 그 중, 파워서플 라이는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만큼이나 신경을 많이 써서 내놓고 있다. 국내에서 아직 메인 보드나 그래픽카드만큼 높은 입지를 가지고 있지 못하지만, 기가바이트라는 명성에 맞게 파워 서플라이 제품 역시 탄탄한 제품이다. 그 중 오딘(ODIN) 시리즈 모델은 고급형 모델시리즈로 GT/PRO/PLUS로 나뉘어진다. 이 중 올해 브론즈 등급으로 선보인 기가바이트 오딘 플러스(ODIN PLUS) 700W를 한 번 살펴보도록 하자. 기가바이트 오딘 플..
올해 파워서플라이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80플러스의 대중화다.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80플러스 인증의 파워서플라이 제품들은 다소 가격이 높아 구매에 걸림돌이 되었다. 하지만, 올해는 국내 파워서플라이 제조사들도 80플러스 제품들을 많이 선보여 가격면에서 일반 보급형 파워서플 라이와 차이가 없을 정도가 되었다. 그래서, 이제는 보급형 파워서플라이 자리까지 80플러스 모델이 차지하기 시작했다. 이런 시점에서, PC주변기기 전문업체 기가바이트도 보급형 시장을 넘보기 위해 가격부담이 없는 80플러스 기본 모델 파워락(PowerRock) 500W 80플러스(Plus)를 선보였다. 새롭게 보급형 파워서플라이 자리는 노리고 출시한 기가바이트의 파워락 500W 80플러스를 살펴보도록 하자. 기가바이트 파워락 500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