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파워서플라이 구매를 할 때 소비자들은 좀 더 안정성과 품질을 생각해 80Plus 인증의 제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80Plus 인증같은경우에는 과거에도 있었지만, 대략 2013년부터 등급이 세분화되어서 사실상 파워서플라의 품질을 높이는데 한몫을 하게되어서 소비자들이 이를 참고해서 선택하죠. 하지만, 80Plus 인증에 대한 비용은 제조업체에겐 부담이기때문에 사실상 제품가격에도 반영될 수 밖에 없고, 소비자입자에서도 인증을 믿고 좀 더 가격이 높더라도 선택을 합니다. 하지만, 현재 80Plus 인증의 측정방식은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등 측정방식에 한계가 있어서 최근 주목받는 인증이 있는데, 바로 사이버네틱스(Cybenetics) 입니다. 그리고, 이 사이버네틱스 인증을 가장 발빠르게 적..
기가바이트(Gigabyte)하면 4대 메이저 메인보드 브랜드 중 하나로 글로벌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기가바이트의 제품군에서 현재 가장 유명한 라인업 브랜드 중 하나는 게이밍 브랜드 어로스(AORUS)라 할 수 있죠. 하지만, 어로스 브랜드가 나오기전부터 대부분의 기가바이트 제품군의 라인업 브랜드라고 하면 바로 이 브랜드였습니다. 울트라 듀러블(Ultra Durable). 기가바이트의 주력 상품이었던 메인보드 제품군에서 시작된 울트라 듀러블은 그래픽카드까지 확장했죠. 물론, 요즘은 게이밍 브랜드가 대세이기때문에 어로스 제품군이 훨씬 많지만, 그렇다고 울트라 듀러블 라인업이 축소된것도 아닙니다. 오히려, 이번에 좀 더 확장이 되었죠. 바로, 파워서플라이 제품군에서도 울트라 듀러블 제품이 나..
국내 파워서플라이 브랜드의 대표주자인 (주)한미마이크로닉스는 2019년부터 서브브랜드 쿨맥스(Coolmax) 제품을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저가형과 보급형 컨셉으로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는데, 그 중 가성비 시리즈로 나온게 바로 VISION 시리즈죠. VISION 시리즈는 저렴한 가격대로 소비자들이 가격부담을 줄이고 접할 수 있는 제품인데, 약 2년만에 두 번째 모델이 나왔습니다 .바로, 'VISION 2'죠. 그럼, 마이크로닉스의 쿨맥스 VISION 2 파워서플라이 제품을 이번 시간에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Get It~!! ■상품정보 - http://appu.kr/?i=12336803 [11번가] 마이크로닉스 COOLMAX VISION II 500W 파워서플라이 카테고리:..
국내 파워서플라이 시장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주)한미마이크로닉스는 누가 뭐래도 가장 대표적인 파워서플라이 모델은 클래식2 시리즈입니다. 일반모델부터 80Plus 인증, 풀-모듈러 등의 고급형까지 다양한 모델로 출시되고 있는 클래식2 시리즈는 특히, 트랜드를 빠르게 적용하는 모델이 있는데, 바로 클래식2 풀체인지 입니다. 클래식2 풀체인지는 작년에 블랙색상을 출시하고 올해 화이트색상을 추가로 출시했는데, 이번 화이트색상 출시와 더불어 국내 최초로 가장 먼저 사이버네틱스(Cybenetics) 인증까지 받았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마이크로닉스의 클래식2 풀체인지 화이트 700W 파워서플라이를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Get It~!! ■상품정보 - http://appu.kr/?i=1..
국내 파워서플라이 시장에 No.1이라 할 수 있는 (주)마이크로닉스(http://www.micronics.co.kr/)는 대중적으로 알려진 라인업이 Classic II(클래식2), Performance II(퍼포먼스2) 시리즈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외에도 Coolmax(쿨맥스), Caslon(캐슬론), Astro(아스트로) 등의 다른 라인업들도 있죠. 특히, 그 중에서 Astro는 마이크로닉스 파워서플라이 생산되는 하이파워(High-Power)의 소속으로 글로벌규격의 제품이라 할 수 있는데, 최근에 풀-모듈러 시리즈인 Astro GD 시리즈에 FDB 베어링 팬을 추가해 팬 수명을 늘린 모델까지 추가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FDB 베어링이 추가된 Astro GD 모델 중 가장 최근 모델이라 ..
국내 파워서플라이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한미마이크로닉스(www.micronics.co.kr)는 마이크로닉스 자체 브랜드로도 파워서플라이뿐만 아니라 PC케이스, 주변기기 등 다양하게 갖추고 있죠. 하지만, 여기에 그치지않고 2019년에 미국 쿨맥스(Coolmax)와 제휴를 맺으면서 마이크로닉스 외에 또하나의 브랜드로 확장을 했습니다. 그러니깐 일종의 서브브랜드가 생긴거죠. 쿨맥스는 합리적인 가격과 고품질을 추구하는 쉽게말해 가성비컨셉으로 제품을 선보이고 있는데, 파워서플라이 경우에는 지금까지 총 7가지 라인업으로 나뉘어서 제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 현재까지 최상급으로 분류되는 익스플로러(Explorer) 시리즈 파워서플라이 제품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Get I..
국내 브랜드 파워서플라이의 No.1이라 할 수 있는 마이크로닉스는 다양한 시리즈 라인업을 갖추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모델을 보유한 라인업은 단연 클래식2 시리즈 입니다. 기본모델인 클래식2를 시작으로 80Plus 스탠다드 등급부터 골드등급까지, 그리고, 여기에 고급형으로 풀-모듈러 제품까지 있죠. 특히, 풀-모듈러 제품은 작년에 선을 보이고, 올해 또다시 선을 보였는데, 바로 화이트색상이 추가된 '클래식2 80PLUS GOLD 230V EU 풀모듈러 화이트' 입니다. 이번엔 750W를 제외하고 850W와 1050W 2가지 모델로만 출시되었느데, 그럼, 겨울시즌에 맞춰 화이트색상으로 추가 출시된 마이크로닉스의 클래식2 80PLUS GOLD 230V EU 풀모듈러 화이트 파워서플라이를 한 번 살펴..
파워서플라이를 규격 그러니깐 크기별로 분류하는 것을 제외하면, 케이블형태로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지죠. 파워서플라이 본체에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와 필요한 케이블만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듈러 방식. 물론,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많이 접하는 형태는 기본적으로 연결된 형태일겁니다. 하지만, 불필요하게 케이블이 남아돌아서 정리하는 걸 경험하고나면 한 번식 모듈러 방식을 생각해보게 되죠. 그것도 모든 케이블이 모듈러 방식인 풀-모듈러 방식이면 더할 나위가 없습니다. 국내 파워서플라이 전문업체인 마이크로닉스(http://www.micronics.co.kr)는 다양한 파워서플라이 라인업을 가지면서 동시에 모듈러 파워서플라이 제품들도 꽤 많은데, 특히 마이크로닉스하면 대표적인 라인업이 클래식 시리즈로 현재 클래식..
예전에는 조립PC를 구상할 때 대중적으로 파워용량을 500W로 많이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600W이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졌죠. 이는 PC시장에 몇 가지 변화가 있기때문인데, 가장 큰 변화는 대중적으로 선택하는 메인스트림급의 CPU와 그래픽카드 제품들의 성능이 높아졌고, 메인보드시장도 보조전원이 2개로 늘어난 제품들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메인보드 같은경우 방금 언급했듯이 보조전원 ATX 지원이 8핀과 4핀으로 지원되는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는 케이블구성으로 최소 600W 파워서플라이 제품은 선택을 해야하는 상황이죠. 여기서 최소 600W를 선택해야한다라는 것은 최신 제품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출시된지 2년이상 된 600W 제품들에선 보조전원 ATX 8핀과 4핀이 없는 ..
올해도 파워서플라이 시장의 경쟁은 치열하다. 이제는 일반 제품 경쟁을 지나 80플러스 인증의 제품들이 경쟁이 되고 있는데, 이도 점차 가격이 많이 좋아져 올해는 스탠다드(Standard)등급보다 한 단계 위인 브론즈(Bronze) 등급에서 경쟁이 치열하다. 80플러스 브론즈 등급의 치열한 경쟁속에 케이스와 파워서플라이 전문업체로 유명한 (주)마이크로닉스가 이번에 자사의 모델라인업 중 퍼포먼스(Performance)시리즈에 브론즈 등급을 추가한 “Performance Pro”를 선보였다. 그럼, 마이크로닉스의 새로운 퍼포먼스 라인업 Performance Pro를 살펴보도록 하자. 이번에 출시된 Performance Pro는 자사에서 출시했던 80플러스 브론즈 등급의 퍼모먼스 브론즈 모델과 등급이 같다. 이..
일반적으로 기가바이트 하면 국내에선 메인보드를 가장 많이 떠올릴 것이다. 그만큼 메인보드 로써의 브랜드입지가 높다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 다음은 그래픽카드일 것이다. 하지만, 기가바이트는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외에도 다양한 PC주변기기를 출시한다. 그 중, 파워서플 라이는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만큼이나 신경을 많이 써서 내놓고 있다. 국내에서 아직 메인 보드나 그래픽카드만큼 높은 입지를 가지고 있지 못하지만, 기가바이트라는 명성에 맞게 파워 서플라이 제품 역시 탄탄한 제품이다. 그 중 오딘(ODIN) 시리즈 모델은 고급형 모델시리즈로 GT/PRO/PLUS로 나뉘어진다. 이 중 올해 브론즈 등급으로 선보인 기가바이트 오딘 플러스(ODIN PLUS) 700W를 한 번 살펴보도록 하자. 기가바이트 오딘 플..
올해 파워서플라이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80플러스의 대중화다.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80플러스 인증의 파워서플라이 제품들은 다소 가격이 높아 구매에 걸림돌이 되었다. 하지만, 올해는 국내 파워서플라이 제조사들도 80플러스 제품들을 많이 선보여 가격면에서 일반 보급형 파워서플 라이와 차이가 없을 정도가 되었다. 그래서, 이제는 보급형 파워서플라이 자리까지 80플러스 모델이 차지하기 시작했다. 이런 시점에서, PC주변기기 전문업체 기가바이트도 보급형 시장을 넘보기 위해 가격부담이 없는 80플러스 기본 모델 파워락(PowerRock) 500W 80플러스(Plus)를 선보였다. 새롭게 보급형 파워서플라이 자리는 노리고 출시한 기가바이트의 파워락 500W 80플러스를 살펴보도록 하자. 기가바이트 파워락 500W ..